우리의 산성(山城),읍성(邑城) 230

군위 화산산성 (華山山城)

종 목 : 시도기념물 제47호 (군위군) 명 칭 : 화산산성(華山山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 10,813㎡ 지 정 일 : 1984.05.21 소 재 지 : 경북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산230 시 대 : 조선시대 소 유 자 : 국유 관 리 자 : 군위군 상 세 문 의 : 경상북도 군위군 새마을주민과 054-380-6062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에 있는 이 성은 조선 숙종 35년(1709)에 병마절도사 윤숙이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병영을 건설하고자 쌓은 산성이다.윤숙은 4문의 기초공사를 시작하여 먼저 홍예문을 세우고, 혜후와 두청 스님으로 하여금 군수사(軍需寺)를 짓게 하였다. 그 후 홍예문에서 수구문에 이르는 거리 200m, 높이 4m의 성벽을 구축하던..

경산 용산산성 (龍山山城)

종 목 : 시도기념물 제134호 (경산시) 명 칭 : 용산산성(龍山山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 164,232㎡ 지 정 일 : 1999.12.30 소 재 지 : 경북 경산시 용성면 용산리 산15 외 시 대 : 삼국시대 소 유 자 : 산림청 관 리 자 : 경산시 상 세 문 의 : 경상북도 경산시 문화공보담당관실 054-811-9021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해발 435m 용산의 정상 아래를 둘러싼 형태의 산성으로, 경사가 완만한 동·남쪽으로는 돌을 쌓았으며, 경사가 급한 서·북쪽으로는 돌과 흙을 이용하여 쌓았다. 지금 남아있는 성의 총 둘레는 1,481㎞이며, 성벽의 높이는 약 1.5∼2.5m이다. 동쪽의 성벽은 내외 2중 성벽의 형태를 취하였으며, 성안에는 ..

대구읍성남문 영남제일관 (嶺南第一關)

영남제일관(嶺南第一關) 대구읍성은 선조 24년 부사 윤현이 선산 군위 안동 읍민을 징집하여 대구부민과 더불어 토성으로 축조하였으며 임진왜란에 붕괴되어 오랫동안 복원되지 않고 있다가 영조12년(1736)에 석성으로 축성되었다. 대구읍성에는 동서남북에 4개 문이 있었는데 약전골목 길 남성로에 정..

강화산성 (江華山城) 2 : 서문-북문-동문-남문

강화산성 복원계획 기사 - 한겨례신문 고려의 임시수도로서 남한 지역 고려문화의 상징인 강화도에서 강화산성이 복원된다. 인천시 강화군은 국비 등 633억원을 들여 오는 2012년까지 강화산성을 복원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강화산성은 성곽 7.2㎞ 가운데 4대문과 성곽 500m가 복원됐고 나머지는 그..

남원 아막성 (阿莫城)

종 목 : 시도기념물 제38호 (남원시) 명 칭 : 아막성(阿莫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 일원 지 정 일 : 1977.12.31 소 재 지 : 전북 남원시 아영면 성리 83 시 대 : 삼국시대 소 유 자 : 사유 관 리 자 : 남원시 상 세 문 의 : 전라북도 남원시 문화관광과 063-620-6173 남원시 아영면 아영고원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이다. 아영고원은 운봉고원과 황산의 산줄기로 구획되어 있는데, 이 일대는 백제의 아막산, 신라의 모산성 등으로 불렀으며, 역사상 신라와 백제간에 격렬한 쟁탈전이 벌어졌던 곳이다.성터는 둘레가 632.8m에 이르며, 동·서·북문터가 남아 있다. 북변의 성벽은 완전히 남아 있으며, 거의 직선으로 길이 150.7m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