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산성(山城),읍성(邑城) 229

강화산성 (江華山城) 남문-남장대-서문

강화산성은 10여년전에 몇번 와 본적있다.그때는 막 복원공사 시기여서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 2009년 4월 https://bae6607.tistory.com/78475772010년 12월 https://bae6607.tistory.com/7847948 남문에서 서문, 그리고 북문에서 동문까지는 복원이 수월하겠지만, 서문에서 북문 그리고 동문에서 남문까지는 경작지와 주택, 군부대등으로 복원이 어려운 구간이다. 강도남문 현판 깔끔하게 정리된 남문성곽 안파루(晏波樓) 상당부분 복원이 완료되어있다. 높이는 4m정도 기단부만 남은 성곽 위로 오를수록 성곽상태가 좋다. 남장대 옛 성곽이 잘 남아있는 구간이다. 북산. 북장대터가 있는곳. 남장대 문수산성이 있는 문수산이 바로 보인다. 건물지 데크다리를 통해 성 밖..

인천 계양산성 (桂陽山城)

종 목 : 사적 제556호 명 칭 : 인천 계양산성(桂陽山城) 분 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수량/면적 : 문화재구역 17필지 62,863㎡, 문화재보호구역 28필지 41,607㎡ 지정(등록)일 : 2020-05-22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인천시 등  삼국시대 최초 축조된 이후 구간별로 개보수되어 통일신라 시대를 거쳐 고려,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던 석산성으로 삼국시대의 축성기술 뿐만 아니라 후대에 개보수하면서 사용한 흔적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시기별 성곽 시설물을 볼 수 있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 문화재청이 성은 계양산(해발 395m) 중턱에 있는 삼국시대의 퇴뫼식 산성이다. 한강 하류 초입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백제와 고구려, 신라의 중요한 군사거점이었고..

당진 면천읍성(沔川邑城)

종    목 : 시도기념물 제91호 (당진군)  명    칭 : 당진면천읍성(唐津沔川邑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 16,954㎡(10필)  지 정 일 : 1993.12.31  소 재 지 :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상리 821-6외 9필  시    대 : 조선시대 소 유 자 : 국유및사유 관 리 자 : 당진군 상 세 문 의 : 충청남도 당진군 문하공보과 041-350-3134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소재지의 거의 전역을 둘러싸고 있는 읍성으로 조선 초기에 쌓은 것이다.성의 둘레는 약 1,200m이고 성벽은 자연석을 다듬어 축조하였는데, 저수지 공사 등의 사업에서 이곳의 돌을 빼다 써서 현재는 유실된 부분이 많다. 서쪽 성벽과 남쪽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 있는..

김포 문수산성 (文殊山城)

종    목 : 사적  제139호  명    칭 : 문수산성(文殊山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 203,511㎡  지 정 일 : 1964.08.29  소 재 지 : 경기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산36-1  시    대 : 조선시대 소 유 자 : 국유, 공유, 사유 관 리 자 : 김포시 갑곶진과 함께 강화의 입구를 지키던 조선시대의 성이다.조선 숙종 20년(1694)에 돌을 이용해 쌓은 석축산성으로 순조 12년(1812)에 고쳐 쌓았다. 잘 다듬어진 돌로 견고하게 쌓았고, 그 위에 몸을 숨기기 위한 방어시설인 여장을 둘렀다. 당시의 성문은 취예류·공해루 등 3개의 문루와 비밀통로인 암문 3개가 있었다. 이 중 취예루는 갑곶진과 마주보는 해안에 있었으며 육지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