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50

수원 화성(華城)3 - 창룡문(蒼龍門)에서 팔달문(八達門)

창룡문(蒼龍門) 창룡문[편액은 판부사 유언호(兪彦鎬)가 썼다]은 성의 동문이다. 서남으로 행궁과 1,040보 떨어져 있고, 유좌(酉坐) 묘향(卯向)이다. 안팎으로 홍예를 설치하였는데, 안쪽은 높이가 16척 너비가 14척, 바깥 쪽은 높이가 15척 너비가 12척, 전체 두께는 30척이다. 안쪽 좌우의 무사는 각각 아래..

수원 화성(華城)2 - 화서문(華西門)에서 창룡문(蒼龍門)

화서문(華西門) 화서문[편액은 좌의정 채제공이 썼다]은 성의 서문이다. 동남으로 행궁과 460보 떨어졌으며 묘좌(卯坐) 유향(酉向)에 자리잡고 있다. 홍예와 문루의 제도는 모두 창룡문과 같다. 다만 좌우의 돌 계단을 꺽어지게 해서 층을 만들었다. 안쪽 좌우의 무사는 아래 너비가 각각 9척이고, 바깥 ..

수원 화성(華城)1 - 팔달문(八達門)에서 화서문(華西門)

'화성은 동서양을 망라하여 고도로 발달된 과학적 특징을 고루 갖춘 근대초기 군사건축물의 뛰어난 모범이다.' 18세기에 완공된 짧은 역사의 유산이지만 동서양의 군사시설이론을 잘 배합시킨 독특한 성으로서 방어적 기능이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약 6km에 달하는 성벽안에는 4개의 성문이 있으..

통영성지 (統營城址)

종 목 : 시도기념물 제106호 (통영시) 명 칭 : 통영성지(統營城址)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지 수량/면적 : 156,851㎡(32필) 지 정 일 : 1991.12.23 소 재 지 : 경남 통영시 문화동, 북신동 238 소 유 자 : 통영시 관 리 자 : 통영시 상 세 문 의 :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관광과 055-650-5363 통영성은 왜적을 방어하고 거주지와 생업지를 갈라놓는 두 가지 목적으로 쌓은 성으로, 조선 숙종 4년(1678)에 쌓기 시작하였다.평지와 산지의 지형을 절충하여 지은 성곽으로, 해발 174.2m의 여황산 양쪽 등성 약 1,000m는 흙으로 쌓았고 나머지는 돌로 쌓았다. 성의 둘레는 2800m, 높이 4.5m이다.성의 구조는 ..

알바 제대로한 황석산

2008년 7월 22일 혼자 황석산 길을떠났다.작년에 유동마을에서 오른경험이있어, 이번에는 반대쪽 우전마을에서 오르기로 하였다.그리고 황석산의 황석산성이 매우 기억에남아, 이번기회에 카메라에 담아보고도 싶었고...여름 산성답사는 고생만하고 별로지만, 황석산성은 그나마 녹음과 잘 조화된다고 나름 생각한 이유도 한몫했다. 우전마을에 도착하니, 이정표가 두개있었다. 구 등산로와 신 등산로...당연히 짧은 구 등산로로 올랐다.11시 30분. 허나 쥐약을 먹은 셈이다. 저.. 뒤에 보이는 황석산 정상. 가다보니 길이 점점 희미해진다. 스틱과 카메라 삼각대는 나무가지와 넝쿨에 걸려 진행이 안돼고...할수없이 배낭에서 꺼내 손에쥐고 올랐다..이건 안다니는 길임에 틀림없다. 표시기는 있지만 , 마치 정글을 연상시키는..

창덕궁(昌德宮)1 - 내전(內殿)과외전(外殿)

종 목 : 사적 제122호 명 칭 : 창덕궁(비원포함)(昌德宮(秘苑包含))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면적 : 579,319㎡ 지 정 일 : 1963.01.18 소 재 지 : 서울 종로구 와룡동 2-7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 국유 관 리 자 : 창덕궁 조선시대 궁궐 가운데 하나로 태종 5년(1405)에 세워졌다.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