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44

철원 한탄강 물윗길

얼마전에 태봉교에서 순담계곡까지 다녀왔는데, 이번에는 순담계곡에서 태봉교 방향으로 후배 관형이와 가보았다.물윗길은 겨울밖에 운영하지않아 겨울의 백미코스다. 순담전망대에서 바라본 모습 주상절리길 물살이 쎄다. 고석정이 보인다. 승일교 하늘교가 보인다. 이곳의 주강절리가 가장 멋지다. 태봉교 하늘교로 향한다. 하늘교에서 바라본 물윗길 지나온 계곡멋진 물윗길 이었다.

자연,풍경,꽃 2025.03.26

계양산성 박물관

계양 산성박물관은 계양산성을 비롯한 우리나라 산성의 발달사와 계양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건립된 국내 최초의 산성 전문 박물관이다. 2020년 인천시에서 운영하는 공공박물관으로 설립됐다. 상설전시실은 총 2개인데, 1층의 ‘산성역사실’에서는 우리나라 산성이 어떻게 지어졌고 발전했는지를 시대순으로 설명해 놓았다. 글자로 된 설명문뿐만 아니라 모형과 영상자료, 계양산성 발굴 당시의 사진 등의 시각 자료가 풍부하다. 같은 층의 ‘계양산성실’은 계양산성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는 공간으로, 계양산성 축소 모형과 발굴유물, 계양산성에서 있었던 역사적 사건 등으로 꾸며졌다.박물관의 상설전시실에서는 ‘역사의 테’라는 주제 아래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된 전국 산성의 종류와 분포 현황을 알 수 있는 ‘우리..

박물관,전시장 2025.03.24

인천 계양산성 (桂陽山城)

종 목 : 사적 제556호 명 칭 : 인천 계양산성(桂陽山城) 분 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수량/면적 : 문화재구역 17필지 62,863㎡, 문화재보호구역 28필지 41,607㎡ 지정(등록)일 : 2020-05-22 시 대 : 삼국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인천시 등  삼국시대 최초 축조된 이후 구간별로 개보수되어 통일신라 시대를 거쳐 고려,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던 석산성으로 삼국시대의 축성기술 뿐만 아니라 후대에 개보수하면서 사용한 흔적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시기별 성곽 시설물을 볼 수 있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뛰어남 - 문화재청이 성은 계양산(해발 395m) 중턱에 있는 삼국시대의 퇴뫼식 산성이다. 한강 하류 초입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백제와 고구려, 신라의 중요한 군사거점이었고..

필동문화 예술거리

지하철 3·4호선 충무로역 4번 출구를 나서면 핑크빛 로고의 커다란 안내표지를 만난다. 안내표지를 따라 골목길로 들어서면 초입부터 건물 벽화들이 눈에 들어온다. 얼핏 보면 그라피티류의 그림인가 싶은데 모두 예사롭지가 않다. 골목으로 들어가면 갈수록 벽화와 볼거리들이 더 많아진다. 아무렇게나 만들고 대충 그린 것들이 아니다. 뷰 포인트와 포토 존이 즐비한 이곳은 ‘필동문화예술거리’, ‘예술통’이다. 예술통은 도시의 유휴 공간을 문화예술 공간으로 재창조한 복합 문화 공간이다. 재단법인 ‘멍석’이 필동 골목에 마련한 곳이다. 천천히 보아도 1시간 이내에 한 바퀴를 다 돌아볼 수 있는 곳이다. 예술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보면 좋다. ▲첫째, 골목골목에 그려진 재미있는 그림들과 곳곳의 설치물 감상하기 ▲둘째..

눈내린 마장호수

3월 18일 오전 9시45분이번 겨울의 마지막 눈이 내린것 같다.눈 녹기전에 마장호수로 향한다. 6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구름다리를 건넌다. 눈 이 발목까지 빠지는걸보니 여기는 눈이 제법 많이왔다. 출렁다리가있는  전망대 발자국은 있지만 사람이 없어 조용해 좋았다. 여름엔 몰랐는데, 이곳 설경이 멋지다. 고령산 이곳의 명물 구름다리 위로 오른다. 아쉽게도 눈때문에 통제중이다. 전망대 카페로... 카페서 바라본 설경 갈때는 저 길로 간다. 출렁다리는 다음 기회에... 겨울은 이곳모습이 하일라이트. 4주차장 오르는 계단 다시한번 전망대 카페모습 주차장으로 향하며 마장호수 설경을 마친다.

자연,풍경,꽃 2025.03.18

보신각 시간의 울림

서울역사박물관 분관 공평도시유적전시관은 오는 7월 19일, 기획전시 ‘보신각, 시간의 울림’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과학관이 복원한 조선시대 시계와 함께 1980년대 새로 조성한 보신각 종의 탄생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 등 50여 점을 선보이는 전시이다.  공평도시유적전시관(종로구 센트로폴리스 빌딩 지하 1층)은 서울의 중심인종로에 위치한 도시박물관이다. 2018년 개관 이후, 상설전시에서는 주로 조선시대 한양의 건물지와 골목길을 보존하여 전시하고 있다. 한양의 옛 지도를 보면 숭례문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남대문로와 흥인지문에 이르는 지점에 현재 보신각이라 부르는 종루가 있었다. 공평도시유적전시관은 보신각 바로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시관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인 종각역의 ‘종각’도 ..

박물관,전시장 2025.03.16

광화문 미디어 파사드 쇼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디지털 기술과 예술 작품을 융합한 미디어파사드 쇼가 열린다. 행사에서는 세계적인 미디어아티스트 4인이 해석한 '광화문'을 보여주는 빛 작품을 비롯해 공모전을 통해 선정한 대학(원)생 등의 작품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오는 12월 13일부터 서울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미디어아트 축제 '2024 서울라이트 광화문'을 연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축제의 주제는 '루미너스 액시스(Luminous Axis, 빛의 축)'로, 각종 조형물과 미디어아트 공모 작품 등을 전시한다. 임태규(한국), 다비드 하르토노(이탈리아), 다비드 위고노(프랑스), 하비에르 꺄냘 산체스(스페인) 등 총 4명의 미디어 아티스트가 광화문을 배경으로 빛을 활용해 만든 비디오 작품을 시청할 수 있다. 이와 더..

공평 도시유적 전시관

공평도시유적전시관은 2018년에 제정된 ‘도시 정비 사업에서 발견된 매장문화재는 가능한 그 자리에 두고 보존한다.’라는 이른바 ‘공평동 룰’에 따라 세워진 전시관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의 분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2015년 공평1·2·4지구에서 확인된 유적은 조선시대부터 근대에 걸쳐 형성된 골목과 건물터 등인데, 발굴조사 후 유적을 그대로 경화시켜 건물의 지하층, 유적이 본래 있던 곳에 이전 복원됐다. 유적은 시기별로 총 4개의 문화 층위로 나뉘나 이 중 가장 상태가 좋고 온전히 남아있는 16세기~17세기 만들어진 유적을 전시관 안으로 옮겼고, 관람객들은 모형과 VR 등을 통해 조선시대 공평동 거리를 경험할 수 있다. 건설 도중 문화재가 발견된다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공사는 즉시 중단되고, 유적의 규모..

박물관,전시장 2025.03.12

영등포 타임스퀘어

타임스퀘어(Times square)는 주식회사 경방에서 2006년부터 총 공사비 6,000억원을 투자해 2009년 9월 16일 서울 영등포에 오픈한 국내 최대규모의 복합쇼핑몰이다. 상업∙업무∙문화∙레저가 어우러진 도시형 엔터테인먼트 문화공간(UELC∙Urban Entertailing Lifestyle Center)으로, 메리어트호텔, 오피스 2개동, 신세계백화점, CGV멀티플렉스, 이마트, 교보문고, 아모리스, 글로벌 SPA브랜드 자라와 망고 등이 입점했다. 총면적 37만m²(약 11만평, 쇼핑공간만은 총 30만2천m2)의 초대형 복합쇼핑몰인 타임스퀘어는 오픈 이후 8개월간 방문객 4,900만명, 매출 6,500억원을 기록하면서 서울 서남부권의 랜드마크로 자리잡았다. 지상 1~5층의 아트리움과 패션몰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