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 북쪽 기슭 한옥마을이 들어선 필동(筆洞) 지역은 조선시대에는 흐르는 계곡과 천우각이 있어서 여름철 피서를 겸한 놀이터로 이름있던 곳이다.
또한 청학이 노닐었다고 하여 청학동으로도 불렸다.
청학동은 신선이 사는 곳으로 불리울 만큼 경관(景觀)이 아름다워 한양에서 가장 경치 좋은 삼청동(三淸洞), 인왕동(仁王洞), 쌍계동(雙溪洞), 백운동(白雲洞)과 더불어 한양 5동(漢陽五洞)으로 손꼽히던 곳이다.
이곳의 옛 정취(情趣)를 되살려 시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골짜기를 만들고 물을 흐르게 하였으며, 정자(亭子)를 짓고, 나무를 심어 전통정원(傳統庭園)을 조성하였다. 7,934㎡(2,400평) 대지 위에 서울의 팔대가(八大家) 중 하나였던 박영효 가옥(朴泳孝 家屋 )으로부터 일반평민의 집에 이르기까지 전통한옥(傳統韓屋) 다섯 채를 옮겨놓았다.
이들 한옥들에는 집의 규모와 살았던 사람의 신분에 걸맞는 가구(家具)들을 예스럽게 배치하여 선조들의 생활모습을 직접 보고 알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전통공예관(傳統工藝館)에는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로 지정된 기능보유자들의 작품과 관광기념상품을 늘 전시하고 있다.
남산한옥마을은 지난 1998년 ‘남산 제 모습 찾기’ 일환으로 조성된 전통정원이다. 서울 곳곳에 있던 전통 가옥을 이곳으로 이전, 복원하여 남산한옥마을로 거듭나게 되었다. 또한 서울정도 6백년을 기념하여 지난 1994년 타임캡슐을 묻어놓은 타임캡슐 광장도 한쪽에 자리하고 있다.
남산한옥마을에는 도편수 이승업의 가옥과 함께 천우각이 자리하고 있으며 삼청동에 있던 조선조 말 오위장을 지냈던 김춘영의 가옥도 이곳으로 옮겨놓았다. 또한 종로구 관훈동에 있던 박영효의 가옥, 제기동에 있던 윤택영의 재실 등을 옮겨 놓아 가옥의 형태와 쓰임새를 통하여 선조들의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다.
이중 도편수 이승업의 가옥은 전통찻집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공예 전시관에서는 민화, 나전칠기, 전통매듭 등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방법을 재연하고 공예품도 판매하고 있다.
순정효황후 윤씨친가
안채·사랑채·대문간채가 연결된 'ㅁ'자 평면
건평 224.79㎡(68평)
이 가옥은 조선 제27대 순종(純宗)의 황후(皇后)인 윤씨가 열세 살에 동궁(東宮)의 계비(繼妃)로 책봉되기 전까지 살았다고 하는 집을 복원해 놓은 것이다. 그러나 건축양식으로 볼 때 1907년 순종의 즉위로 윤씨가 황후가 된 이후인 1910년대 부원군(府院君)의 궁(宮) 집으로 새롭게 중건(重建)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의 집은 종로구 옥인동 47-133번지에 있는데, 집이 너무 낡아 옮기지 못하고 건축양식 그대로를 본떠 이곳에 복원(復元)하였다. 집의 평면은 'ㄷ'자형 몸채 앞쪽에 사랑채를 두어 전체 평면은 'ㅁ'자형이다. 몸채와 사랑채 쪽은 지붕에 단차이(段差異)를 두었고, 사랑채 대청 부분은 바깥에서 볼 때 중층(重層)으로 꾸며져 있는데 이것은 지형(地形)을 살린 구성이다.
장대석 기단(長臺石基壇), 방형초석(方形礎石), 초익공(初翼工), 운공(雲工)을 사용한 점, 후면과 측면 툇마루 바깥쪽으로 설치한 정자(井子) 살창, 사괴석(四塊石)과 전돌(塼石)을 사용한 화방벽(火防壁)이 설치된 점 등에서 최상류층의 저택임을 알 수 있으며, 언뜻 보면 별궁(別宮)의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일각대문으로 들어간다.
부엌을 통해 집안내부가 보이고, 오른쪽으로 안채다.
왼쪽의 사잇문으로 들어가본다.
대문이다.
밖에서보니, 2층의 방이 보인다.
안으로 들어가본다.
전형적인 ㅁ자 구조다.
부엌의 모습이고...
안채는 2중구조로 되어있어, 밖의 온도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수있게 되어있었다.
집 뒤꼍이다.
해풍부원군 윤택영댁 재실
사당채와 몸채로 구성된 '元(원)'자 평면
연면적 218.18㎡(66평)
이 가옥은 순종의 장인인 해풍부원군 윤택영이 그의 딸 순정황후(純貞皇后)가 1906년 황태자비로 책봉되어 창덕궁에 들어갈때 지은 집이다.
건축자재는 경운궁(慶蕓宮)을 헐때 그 재목을 이용한 것으로 재질은 홍송(紅松)이다. 동대문구 제기동 224번지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이전, 복원하였다. 가옥의 평면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으뜸 원(元)자’모양이다. ‘ㅡ자’형(一字形)인 사당(祠堂)은 ‘원자(元字)’의 머리에 위치하여 집의 제일 안쪽 높은 터에 자리 잡았다.
그 앞 남쪽 한단 낮은 터에 원자의 ‘ㅠ형’몸채를 두었다. 몸채의 구조는 안채와 사랑채가 연속되어 ‘ㅡ자’형(一字形)으로 ㅠ의 ㅡ를 이루고, 그 앞 동서로 행랑채가 팔을 이루며 연속되어 있다. 사당은 1960년에 소실되었던 것을 복원하였으며, 사당 앞에 두단의 석축(石築)을 쌓아 화계(花階)를 구성하였다. ‘
원형’평면의 중앙은 자연히 가운데 마당이 되는데, 전면 동서 행랑채 벽선을 따라 담장을 치고 일각대문을 두어 마당으로 드나든다. 안마당은 서쪽 행랑의 중문을 통하고 사랑마당에는 동쪽 행랑 끝에 뻗어 나온 담장의 일각대문으로 드나들게 되어 있다. 지붕은 팔작 기와지붕으로 사랑채는 부연(附椽)을 단 겹처마이고 나머지는 홑처마이다. 행랑채는 삼량가구(三樑架構)로서 맞배지붕을 이루고 있다.
가옥 전체의 분위기는 살림집이라기 보다는 재실(齋室)용도에 걸맞게 되어 있다. 때문에 대청을 중앙에 두고 안방과 사랑방이 마주한 것 등 특수한 요소가 많은 가옥이다.
대문이다.
대문오른쪽에 또 문이있다.
왼쪽으로는 안채같다.
집안으로 들어가본다.
으뜸 원(元)자 구조라 오른쪽 왼쪽이 같은 구조다.
여기는 왼쪽에 해당된다.
마루가 유일하게 일직선으로 집안을 관통한다.
집 뒤쪽은 가축사육장과, 제사지내는 별채가 있었다.
한바퀴돌아 맞은편 건물이다.
비슷하지만, 정자분위기다.
한국적 여유로움을 느낄수있는 장소다.
집 가운데 문이다.
뒤쪽모습으로, 집 주인을 위한 공간은 아닌것 같다.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
[駙馬都尉]=왕의 사위
안채·사랑채·별당채로 구성
연면적 323.96㎡(98평)
이 가옥은 서울 8대가(八大家)의 하나로 철종의 후궁인 숙의범씨(淑儀范氏)의 소생 영혜용주(永惠翁主)와 그의 남편 부마도위 박영효가 살았던 집이다. 그 뒤 이 집에는 군부대신 이용익(李容翊)과 공주갑부 김갑순(金甲淳)이 살았다 한다. 이 가옥은 이진승가(李進承家)로 지정되었던 민속자료로서 인사동 골동품상가골목 안에 있었다. 1983년 7월부터 경인미술관(耕仁美術館)으로 사용되고 있던 것을 이곳으로 이전, 복원한 것이다. 이집의 구조는 한 줄로 늘어선 중문간 행랑채의 남쪽 끝의 중문을 들어서면 일단’ㄱ자’로 꺾이어 중문을 지나 안마당에 이른다. 이러한 구조는 조선시대 살유주택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남녀간의 엄격한 구분을 위한 것이다. 안채의 동쪽에는 별당 채(3칸 × 1.5칸)가 서향으로 앉혀져 있고 북쪽으로 광채가 있는데, 이 채에 내측간이 자리한다. 행랑마당에서 서쪽 사랑마당과의 사이 담에 설치된 사주문을 들어서면 사랑마당이 되고 ‘ㄱ자’형의 사랑채가 자리잡고 있다. 사랑채는 사랑방(2칸 × 1칸)과 대청(2칸 × 1칸), 누마루(1칸 × 1.5칸)가 남향으로 자리잡고, 사랑방 뒤로 침방(1칸)과 아궁이(1칸)가 있으며, 사랑방과 대청 앞에는 툇마루가 붙어있다.
문을 들어가면 안채다.
사잇문문으로 들어가면 사랑채.
사랑채 방 모습이다.
사잇문을 지나 안채로 들어간다.
안채뒤에는 별채가 하나있었다.
안채와 별채.
마침 전통 혼례식이 있었다.
오위장 김춘영 가옥
[五衛將]-조선 초기 군제인 5위(五衛)에서 위(衛)를 통솔하는 무관직.
종2품으로 위장이라고도 한다. 정원은 12명이며 타관이 겸했다. 5위는 1451년(문종 1)에 설치되었는데, 각 위마다 5부(五部)를 두고 부에는 4통(統)을 두었다. 또 위마다 위장을 두었으며 그 아래 부장(部將)·통장(統將)을 설치했다. 그러나 실제로 5위장은 5위의 군사편제와는 무관한 별도의 관직으로, 왕이 낙점하여 선발했다.
'ㄷ'자형 안채에 'ㅡ'자형 사랑채 연결
건평 82.46㎡(25평)
이 가옥은 1890년대에 오위장 김춘영이 지은 집이다. 원래 종로구 삼청동 125-1번지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이전, 복원하였다. 이 집의 모습은 서쪽에 길을 두고 길에서 꺾이어 들어선 좁은 빈터에 면한 크지 않은 대지에 서남향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집의 모양새는 ‘ㄷ자’형의 안채와 ‘ㄱ자’형의 사랑채가 연결되어 있다. 길에서 동쪽으로 꺾이어 들어서면 서남쪽을 향한 대문간과 서쪽을 향한 일각대문(一角大門)이 있는데 대문은 안채로, 일각대문은 사랑채로 들어가는 문이다. 대문간은 전면을 벽체로 막고 ‘ㄱ자’로 꺾여 안마당에 들어서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곧바로 안채가 들여다보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대문간에는 문간방 1칸을 두었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조선시대 서울주택의 전형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부엌 남쪽의 찬마루와 광이 문간방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좀 색다른 점이라 하겠는데,
이러한 양식은 좁은 집터에 자리잡은 경우 쓰이던 양식으로 보인다. 안채의 구조는 긴 섬돌 초벌대 기단(基壇)위에 네모뿔대의 초석을 놓고 흘림이 없는 네모기둥을 세워 납도리로 결구(結構)한 민도리집이다. 사랑채는 대문간 채와 연이어 튀어나온 형태로 되어 있는데, 사랑방(1칸 × 1.5칸), 사랑대청 (1칸), 건넌방 (1칸)을 두고 있다. 대청과 건넌방 앞에 작은 사랑마당이 있는데, 이 사랑마당은 일각대문과의 사이에 있는 것이다. 이 가옥은 안방의 뒤쪽 벽, 길가에 면한 부분에 4개의 괴석(塊石)과 벽돌을 사용하여 화재를 방지하는 벽을 쌓아 집의 격조를 높인 점과 추녀의 끝부분에 태극문을 조각하여 장식한 것은 특기할 만하다. 이 가옥은 전반적으로 서민주택의 양식을 보이고 있으나 서민중에서는 경제적으로 윤택한 중상류층 집안의 양식으로 추측된다.
내가보기에는 상류층치고는 소박했다.
상류층에는 어떤 일반문화가 있었을까?
도편수 이승업 가옥
도편수-집을 지을 때 책임을 지고 일을 지휘하는 우두머리 목수.
안채·사랑채
건평 119㎡(36평)
이 가옥은 조선말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 의하여 경복궁(景福宮)이 중건(重建)될 때 도편수(목수의 우두머리)였던 이승업이 1860년대 지은 집으로 중구 삼각동 32-6번지에 있던 것을 이곳 남산골 한옥마을에 이전, 복원하였다.
대문간채와 행랑채가 안채와 사랑채를 둘러싸고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안채와 사랑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丁(정)'자형이고 사랑채는 'ㄴ'자형의 평면이다. 안채에서 부엌과 안방쪽은 반오량(半五樑)으로 꾸며 전후면(前後面)의 지붕길이를 다르게 꾸민것은 특색이 있는 구조이다. 대청과 건넌방쪽은 일고주오량가(一高柱五樑架)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전통찻집으로 운영되고있어, 자세히 살펴보기가 아쉬웠다.
남산골 한옥마을엔 전통연못과 정자도 있다.
망북루에서 바라본 시내모습이다.
타임 캡슐
1. 캡슐 설치 의의
서울 정도(定都) 600년을 맞이한 오늘날의 시민생활과 서울의 모습을 대표할 수 있는 문물 600점을 캡슐에 담아 400년 후인 서울 정도 1000년에 후손에게 문화유산으로 전하고자 함.
2. 매설과 개봉
매설 일시 : 1994. 11. 29.
개봉 일시 : 2394. 11. 29.
3. 광장 조성
시민공모작품 중 최우수작 채택
운석에 의한 분화구 모양 (시간의 영속성 의미)
- 원형광장 : 외경 42m, 내경 27m, 깊이 5.7m
- 중앙판석 : 지름 7.5m, 두께 0.7m의 화강암
- 12지 조명, 전실 등으로 구성
4,960㎡(1,500평)의 광장
4. 캡 슐
보신각종을 본뜬 모양, 직경 1.4m, 높이 2.1m, 무게 2.5톤
FRP외장 스테인리스 특수강(STS 316L) 유리섬유, 실리카겔 등으로 구성된 5중 구조
진공처리(1/1000mm Hg) 및 아르곤가스 주입 보전
5. 수 장 품
'94 서울의 인간과 도시를 대표할 수 있는 문물 600점
실물 축소 모형 마이크로 필름 Video-CD 형태로 수장
타임캡슐에서 바라본, 망북루와 서울 타워.
'우리의 궁(宮),당(堂),루(樓),정(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령전 (華寧殿) (0) | 2008.05.19 |
---|---|
화성행궁 (華城行宮) (0) | 2008.05.19 |
종로 보신각 (普信閣) (0) | 2008.05.17 |
파주 반구정 (伴鷗亭) (0) | 2008.05.17 |
파주 화석정 (花石亭) (0) | 2008.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