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궁(宮),당(堂),루(樓),정(亭)

벌교홍교 (筏橋虹橋)

메탈 2009. 3. 14. 08:35

종    목 : 보물  제304호 
명    칭 : 벌교홍교(筏橋虹橋) 
분    류 :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교통/ 교량 
수량/면적 : 1기 
지 정 일 : 1963.01.21 
소 재 지 :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153 
시    대 : 조선시대
소 유 자 : 국유
관 리 자 : 보성군

 

홍교란 다리 밑이 무지개같이 반원형이 되도록 쌓은 다리를 말하며, 아치교·홍예교·무지개다리라고도 한다. 이 다리는 현재 남아 있는 홍교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현재도 주민들이 사용하고 있다.

 

예전에는 이 자리에 뗏목을 이은 다리가 있어 벌교(筏橋)라는 지명이 생겨났으며, 조선 영조 5년(1729)에 선암사의 한 스님이 돌다리로 만들어 놓았다고 한다. 그후 영조 13년(1737) 다리를 고치면서, 3칸의 무지개다리로 만들어졌고, 1981∼1984년까지의 4년에 걸친 보수공사를 통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무지개 모양을 한 다리밑의 천장 한 가운데 마다 용머리를 조각한 돌이 돌출되어 아래를 향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물과 용의 관계에서 오는 민간신앙의 표현으로 보인다. 예전에는 이 용의 코끝에 풍경을 매달아 은은한 방울소리가 울려퍼지도록 하였다고 한다. 다리가 놓여진 강에는 바닷물이 드나드는데, 썰물 때에는 다리 밑바닥이 거의 드러나고, 밀물 때에는 대부분이 물속에 잠긴다.

 

원래 다리의 규모는 폭 4m, 길이 80m에 이르렀을 것으로 보이며, 이 다리를 위해 주민들이 60년 마다 회갑잔치를 해주고 있다고 한다. 화려하고 거대한 모습 속에서도 단아한 멋을 풍기며, 웅대함과 함께 뛰어난 기술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 문화재청


 

다리를보면, 새로만든홍교와 옛스러운 홍교가 같이있슴을 알수가있다.

알아본 결과 홍교는 뒤쪽의 3칸이고, 나머지는 평교로 나무다리였단다.

그러다 홍수로 나무다리가 떠내려가고, 일제시대에 시멘트 평교로 되었다가..보수하면서 시멘트평교를 다시 홍교로 만들었단다.

 

그러니까 저 3칸의 홍교만이 조선 영조때의 옛 홍교란 얘기다.

 

건너가 본다.

 

 

정면에서 바라본 홍교.

 

 

반대쪽.

 

 

 

용머리.

 

아름답게느끼던지, 이질감을 느끼던지는 보는사람의 몫이다.

 

벌교홍교는 소설 태백산맥때문에 더 유명해지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