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홈페이지에 쓰인 글이다.
1. 전국의 유명하고 역사적인 유적을 전문인의 고증을 바탕으로 모형으로 재현, 유적지에 직접 가지 않고도 한 곳에서 관람 가능
2. 관람공간(역사전시관,모형촌)과 참여공간(놀이마당,저자 거리)을 마련,정적인 관람기능에 동적인 참여 기능 부여
3. 전통음악,무용 등 무형문화재 특별공연 실시
4. 우리 민족의 전통예법에 따라 혼례를 치르는 전통 초례청 마련
5. 가족 마당극,어린이 박물관교실,전통 문화 체험 교실 등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설
http://www.lotteworld.com/museum/
입구다. 입장료 5,000원.
사대천왕의 모습.
경기도 관찰사가있었던 경기감영도, 현재 독립문근처다.
입체영상관을 지나고...
선사시대실
인류의 진화모습, 구석기인의 동굴생활,신석기시대 움집, 청동기 제작장면
3국시대실이다.
가운데 광장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었다.
고구려실
황해도 안악3호고분을 중심으로 벽화에 보여지는 대행렬도와 우물, 푸줏간,마구간,부엌 등 옛 고구려인들의 생활모습이 모형으로 재현
다시 광장으로 나왔다.
어린이들이 참여한 문화체험 프로그램.
백제실
삼국시대의 옛 무덤 중에서 주인이 분명한 무령왕릉과 “백제인의 은은하고 아름다운 미소”가 담긴 서산마애삼존불 전시.
마애삼존불과 무녕왕릉무덤.
당시의 생활상을 재현하였다.
정림사지.
와당비교표와 가람배치도가 참고될만하였다.
가야실
쇠로 만든 유물들을 통해 동북아시아에서 철기문화가 가장 발달하였던 것을 알 수 있고, 훗날 고려청자로 이어지는 토기들이 전시
2층 다락방모습.
신라실
신라의 우수한 세공기술을 보여주는 금관,목걸이,금모자,귀걸이 등과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에 올려져 있는 석굴암이 1/2 크기로 전시.
일반인의 생활.
귀족의 모습.
감은사모형.
석굴암을 자세히 볼수있어 좋았다.
안압지.
고려실
세계적인 자랑거리인 고려청자와 금속공예, 번창하였던 불교문화의 대표격인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고려대장경을 만드는 모습. 청자 제조 과정 및 완성품들이 전시.
부석사 무량수전이다.
당시 일반인의 생활모습.
팔만대장경 제작.
만월대 (萬月臺)
919년(태조 2) 태조가 송악산 남록(南麓)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을 창건한 이후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침입으로 소실될 때까지 고려 왕의 주된 거처였다. 만월대의 위치는 남록에 있는 높은 곳으로 좌우에 구릉이 둘러 있는 용호지세(龍虎之勢)이며, 그 앞에는 주수(主水)와 객수(客水)가 합류되어 흐르고, 남으로는 주작현(朱雀峴)을 넘어서 멀리 진봉산(進鳳山)이 바라다보이는 사신상응(四神相應)하는 명당이다. 일반적으로 평지에 건립되는 왕궁과는 달리 산의 지세에 따라 몇 개의 단지를 형성해 세워졌으므로 매우 특이하다. 동서 445m, 남북 150m 정도의 대지에 건립된 궁성 주위에는 13개의 문이 있었는데, 정동문(正東門)인 광화문(廣化門)은 주요도로와 연결되었다.
광화문을 지나 서쪽으로 가면 궁궐의 정남문(正南門)인 승평문(昇平門)에 이르고, 이곳을 지나면 주수가 되는 광명천(廣明川)의 다리인 만월교(滿月橋)가 있다. 만월교를 건너 신봉문(神鳳門)을 들어서면 넓은 뜰이 있고 동에는 세자궁으로 통하는 춘덕문(春德門)이, 서에는 왕의 거처로 통하는 태초문(太初門)이 있다. 이곳에서 제3문인 창합문(閶闔門)을 지나면 지세 때문에 뜰이 협소해지고 정면에 50여 척이나 되는 높은 단 위에 정전인 회경전(會慶殿)이 있다.
회경전 뒤 더 높은 곳에는 비상시에 대신들과 정사를 의논하던 원덕전(元德殿)이 있다. 회경전 서북쪽에는 천자의 조서를 받고 사신을 대접하던 건덕전(乾德殿)이 있고, 북쪽에는 침전인 만령전(萬齡殿)이 있다. 이밖에 사신 등이 바치는 물품을 받던 장령전(長齡殿)과 연영전(延英殿) 등이 있었다. 만월대는 궁궐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넓지 않은 공간에 많은 건물을 계단식으로 배치했으며, 지금은 문과 문 사이를 연결하는 계단, 기단지, 초석 등이 남아 있다.
고려청자 제작모습.
모형촌은 조선시대 우리조상들의 생활모습을 1/8로 축소하여 재현한곳이다.
1.열 두달 세시풍속, 관혼상제, 근정전 진하를 테마로 2천 여 점의 인형을 이용해 우리 조상들의 삶의 모습을 43개 장면으로 연출
2.근정전진하 500여 개의 인형으로 연출한 경복궁 왕 즉위모습.
3.세시풍속(단오,봄놀이,모내기,동제,길쌈,추수모습,김장)
4.관혼상제(돌잔치,관례,혼례,회갑,상여행렬)
놀이마당에는 일제시대의 모습을 재현해 놓았다.
어린이 손붙잡고 간단하게 우리의 역사와 옛모습을 볼수있다는 면에서 긍적적이다.
'박물관,전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인스월드(AINSWORLD) 2 (0) | 2010.02.20 |
---|---|
아인스월드(AINSWORLD) 1 (0) | 2010.02.19 |
국립 고궁박물관 2 (0) | 2009.12.07 |
국립 고궁박물관 1 (0) | 2009.12.07 |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0) | 2009.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