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왕실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실은 5개실로 제왕기록실, 종묘제례실, 궁궐건축실, 과학문화실, 왕실생활실등 12개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국보로 지정된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비롯한 왕실유물 50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입구로 들어가면 2층인데, 2층에서는 조선 왕조의 국정 전반을 담은 기록 문화와 오례를 통해 체계화된 국가 의례와 관련된 유물 등을 관람함으로써 조선왕조의 위상을 가늠해볼 수 있었다. 좋은 정치를 펼치기 위해 제도화한 국가의례 관련 의물을 볼 수 있는 국가의례실, 국가통치를 위한 공식적인 기록유산인 실록, 의궤, 국조보감, 어보 등을 볼 수 있는 제왕기록실, 조선왕조의 대표적인 궁궐인 경복궁,덕수궁 등 궁궐건축 유물을 볼 수 있는 궁궐건축실, 부국강병을 위해 발전시켰던 각종 과학기기, 도량형, 의학기기, 무구류를 볼 수 있는 과학문화실,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비한 왕실의 복식 장신구, 가구를 볼 수 있는 왕실생활실이 있었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서울, 타임캡슐을 열다’전시행사도 열리고 있었다.
1층에는 조선왕실의 탄생과 교육문화, 여가 활동의 산물인 문예작품과 다양한 인장 유물 및 순종, 순종황후가 탔던 어차를 비롯한 대한제국기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세계와 만나는 대한제국기의 유물, 근대기 신문과 황실 사진자료, 궁중 생활 공간 재현, 황제, 황후의 근대식 어차를 볼 수 있는 대한제국실, 왕실아기씨들의 태항아리와 태지석, 태실 재현과 태봉도, 각종 세자교육자료와 문방구류를 볼 수 있는 탄생교육실, 어제, 어필과 왕실 문예활동의 산물인 왕실소장 인장을 볼 수 있는 왕실문예실이 있었다.
박물관의 B1층에는 화려하고 장엄한 궁중의 장식병풍 그림과 기록화, 국가의례 음악에 사용되었던 다양한 궁중 악기, 그리고 국왕 행차에 사용되었던 가마와 각종 의장들이 전시되어 있다.
조선의 예약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궁중악기를 볼 수 있는 궁중음악실, 왕실의 권위를 아름답게 꾸며 주었던 장식병풍, 궁중기록화를 볼 수 있는 궁중회화실, 국가의례를 치르는 국왕행차에 등장했던 가마와 의장을 볼 수 있는 어가의장실, 조선의 과학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는 물시계-, 자격루(복원)를 통해 본 조선시계의 역사를 볼 수 있는 자격루실이 있었다.
http://www.gogung.go.kr/index.do
경복궁 내에있는 고궁박물관.
입구로 들어가면 2층이다.
먼저 왕실생활
갖가지 생활용품이 전시되어있다.
왕과 왕비의 옷이다.
자수본 이란다.
다음은 과학문화
국가의례
이곳은 궁중 제사에 관한것이다.
경주소재 집경전 옛터그림. 아주 세밀하였다.
궁궐건축
제왕기록
야간 도성출입 허기증
임금이 신하를 부를때 사용하는 명패.
종묘증축 의궤
종묘의 신실을 증축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영조가 정조에게 내린 은도장.
세종임금과 왕비의 금보.
군사지휘권에관한 명령서
이제 1층으로 내려간다.
1층로비에는 순종황제와 순정황후의 어차가 전시되어 있었다.
순종황제의 어차(御車)로 등록문화제 제318호.
금속판에 새겨진 이 자동차의 설명문글
'순종황제(재위1907-1910년)가 어차로 미국의 GM사가 제작한 캐딜락 리무진입니다.
7인승, 31.25마력, 8기통엔진, 배기랼 5.153cc
년식은 1918년으로 추정됩니다.
차체는 철재가 아닌 목재이고 외부는 칠(漆)로 도장하였다.
차문에는 황실문장인 황금색 오얏꽃 장식을 뭍였고
내부는 오얏꽃 무늬의 황금색 비단으로 꾸며저 있다.
전체적인 형태가 마차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어
초기자동차 모델의 특징을 보여준다.
전세계적으로 20대만 남아있다.'
순정황후(純貞皇后)의 어차로 등록문화재 제 319호.
순종의 황후인 순정황후가 탓던 차로 영국 DAIMLER사가 제작한 리무진이랍니다.
7인승, 20마력, 4기통엔진, 배기량 3,309cc
연식은 1914년으로 추정이 된답니다.
순종황제 어차와 같이 차체는 목재이고 외부는 칠(漆)로 도장되어 있구요.
황실문장인 황금오얏꽃 장식을 차문에 붙였고
내부는 오얏꽃 무늬의 비단으로 꾸며저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3대만 남아 있답니다.
국내에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차가 되겠습니다.
1층의 탄생교육실로 향한다.
'박물관,전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0) | 2009.12.24 |
---|---|
국립 고궁박물관 2 (0) | 2009.12.07 |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0) | 2009.11.08 |
만화박물관 (0) | 2009.11.08 |
고양 중남미 문화원 (0) | 2009.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