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산성(山城),읍성(邑城)

부산 금정산성 (金井山城) 1. 북문 - 동문

메탈 2009. 2. 19. 00:04

종    목 : 사적  제215호 
명    칭 : 금정산성(金井山城)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 830,370.24㎡ 
지 정 일 : 1971.02.09 
소 재 지 : 부산 금정구  금성동 일원 
시    대 : 삼국시대
소 유 자 : 국유,사유
관 리 자 : 금정구

 

부산광역시 금정구 일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축 산성으로 둘레 1만 7,336m, 높이 1.5∼6m의 우리 나라 최대규모급의 산성이다. 해발 810m인 금정산(金井山) 정상부에서 서남쪽으로 계곡을 포용하여 능선을 따라 축성되었으며, 동·서·남·북 사방의 성문과 수구문·암문 등의 시설이 있다.

기록에 의하면 이 성은 1703년(숙종(肅宗)29)에 경상 감사 조태동(趙泰東)이 동래 부사 박태항(朴泰恒)으로 하여금 쌓게 한 것으로서, 둘레 9,011보(步), 높이 15척(尺)이라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이전인 1667년(현종(顯宗)8 ) 통제사 이지형(李枝馨)이 왕에게 금정산성을 보수할 것을 건의 하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이보다 더 오래된 시기에 축성되었고 돌보지 않게 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산성은 낙동강의 하구와 동래 지방이 내려다 보이는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어, 바다로 침입하는 적에 대비하기 위한 성곽임이 확실하고, 또 성의 규모나 성벽의 축조 양식으로 볼 때 처음 축성시기는 보다 앞선 시기까지도 올려 볼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 뒤 1707년 (숙종(肅宗)33) 동래 부사 한배하(韓配夏)가 성이 너무 넓다하여 남북 두 구역으로 구분하는 중성(中城)을 쌓고 장대(將臺)· 군기고(軍器庫) 등의 시설을 보강하였다. 이후 1774년 (영조(英祖)50)에 이르러 성(城)이 너무 커서 지키기 어려워 일단 혁파하였다. 그러나 1806년(순조(純祖)6) 동래부사 오한원(吳翰源)이 성을 중수하였으며, 1824년에는 보다 적극적인 경영에 나서서 동문을 신축하였으며 서·남·북문에 문루(門樓)를 만들고 수비군을 배치하였다. 이때의 길이는 32리로 기록되어 있으며, 당시 숙종 이래의 산성 수축 공사의 경위를 새긴 금정산성복설비(金井算城復設碑)가 지금의 동래구 장전동에 건립되었다.

 

이 산성에는 산성별장(山城別將) 한사람과 군관(軍官) 두사람·진리(鎭吏) 두사람·지인(知印) 두사람 및 사령(使令) 4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동쪽 성벽은 산꼭대기부터 500∼600m의 분수령을 따라 험준한 지형과 암벽을 아용하여 요새를 이루고 있다. 서쪽 성벽은 산꼭대기에서 구포방면의 능선과 계곡을 건너 동쪽 성벽으로 이어지고 있다. 성벽은 이곳에 많은 화강암을 자연석 그대로 1.5∼3m의 높이로 지형의 굴곡과 고저에 따라 쌓았다, 성벽의 요소 요소에는 포루와 암문을 설치하였다. 설치 당시 성내에는 중군소(中軍所)와 군기고(軍器庫)· 산성창(山城倉) 등 수비에 필요한 건물과 군량·군기가 마련되고,국청사(國淸寺)·해월사(海月寺)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국청사만이 남아 있다.

 

아침 8시부터 올랐다.

범어사에서 북문은 특별히 어렵지 않은 길이다. 약 40-50분 거리다.

 

북문직전에 오른쪽에 보이는 고당봉.

 

북문이다.

정면 1.5칸, 측면 1칸으로 특이했다.

 

금정산성 북문(北門)은 범어사에서 서쪽으로 1.6km, 금정산 주봉인 고당봉의 남쪽 0.9km 지점에 있다. 고당봉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주능선이 원효봉을 향해 다시 치켜 오르려는 잘록한 안부에 자리하고 있다.

금정산성 4문 가운데 북문이 가장 투박하고 거칠다. 이 성문에는 아치형의 장식도 없고, 규모도 다른 성문보다 작다. 직사각형의 석문에 누각과 성곽을 마지못해 형식적으로 세운 듯한 느낌마저 준다. 그러나 이 투박한 모습이 오히려 금정산성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

금정산성은 임진란의 혹독한 피해를 입은 동래 부민들이 난리에 대비하기 위하여 쌓은 피란겸 항전성이다. 임진란에 있어서 동래가 차지하는 위치는 다른 고을에 비할 수 없이 중요했다. 나라의 관문이라는 지리적 조건에서 난리의 발생과 함께 적의 첫 상륙지점으로 제일 먼저 전화(戰禍)를 나누고 굳센 항전을 전개한 곳이며,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내었다. 또 난리의 장기화에 따라 적의 교두보로서 오랜 수난이 계속된 곳이기도 하다.'(금정산성 전돈대지 발굴조사개보)

이런 상황에서 축성한 금정산성의 성문이라면 미적(美的) 감각을 동원할 수 있는 겨를이 없었음이 오히려 당연하다. 투박하고 거칠며 모양새가 없는 북문에서 금정산성의 실체를 아주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 북문은 복원 작업도 다른 성문들에 밀려 부산시가 가장 뒤늦게 하였다. - 금정산성 홈페이지

 

오늘의 산행일정 계획이다.

북문-동문-남문-서문 그리고 다시 북문일주 순이다.

금정산성은 우리나라에서 가장큰 산성답게 17.335lm의 거대한 성이다.

4개문과 4개 망루를 가졌으며, 이상하게도 암문은 본성에 1개, 중성에 1개로 적은 편이다.

 

조선시대 해동지도와 별반 다르지가 않다.

 

북문앞에서 바라본 모습. 고당봉에서 내려온 성곽이다.

 

이것은 반대편이다.

높이는 약 2m로 이 높이가 금정산성의 평균이다.

 

북문모습이다.

 

안쪽에서...

 

안쪽에서 바라본 문루.

 

성곽 위쪽모습.

 

고당봉과 북문 성곽.

 

이제부터 성곽을 따라가본다. 막쌓기의 모습이다.

 

성곽 안쪽으로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었다.

 

자연암반을 이용한 성곽축조모습.

 

 

 

680봉으로 이어진다.

 

680봉에 오르니, 성곽이 원효봉(687m)까지 연결된게 보인다.

 

멋진 조망이다. 광안대교가 바로아래다.

 

지나온 680봉과 성곽.

 

여기부터 원효봉까지는 성곽이 깨끗하게 복원되어 있었다.

 

원효봉에 이르니 장쾌한 금정산 동쪽능선과, 능선따라 뻗어있는 성곽이 멋지게 펼쳐져있었다.

 

오늘산행과 답사의 동반자 산돼지와...

 

성곽이 의상봉(641m)으로 연결되고, 그옆 오른쪽에 제4망루가 보인다.

 

의상봉 왼쪽에 보이는 무명암.

무명암은 금정산 최대 암장이란다.

 

 

한동안 이곳조망을 넋나간 사람처럼 바라보았다.

 

성곽을 따라간다.

 

뒤돌아본 원효봉과 성곽. 그뒤로 고당봉.

 

의상봉.

 

무명암.

 

이어서 성곽이 시원한 능선으로 이어진다.

 

제4망루와 망루에서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중성.

 

의상봉에서..

 

고당봉과 원효봉을 뒤로하고, 의상봉을 내려선다.

 

제4망루.

 

뒤돌아본 의사봉.

 

무명암.

 

제4 망루다.

뒤로 망미봉,상계봉,파리봉이보이고 성곽은 그곳으로 이어진다.

 

망루에서 서문으로 이어지는 중성성곽.

  

 

 제4망루와 의상봉, 무명암.

 

성곽을 따라 간다.

 

성곽이 암반에 연결되어있고, 저 앞에 뾰복한것이 부채바위다.

 

지나온 성곽.

 

금정산 시원한 동쪽능선을 잘 보여주고있다.

 

 

이곳풍경이 너무좋아, 자꾸 뒤돌아 보게된다.

 

성곽이 일정한 높이로 동지바위까지 이어져있다.

 

 

동지바위옆 부채바위.

 

 

성곽을 따라가면 제3 망루다.

 

바위뒤에 숨어있는 제3 망루.

 

 

망루에서 보이는 부산.

 

 

나비안부. 옛날엔 이곳에서 막걸리도 팔았단다.

 

안부에서 바라본 제3 망루.

 

다시 성곽을 따라간다.

 

산돼지가 있어, 아주 든든하다.

 

금정산성의 특색은, 이런 치성같기도하고 옹성같기도한 모습을 많이 발견하는데, 무었인지 무척 궁금하다.

 

암반에 연결된 성곽.

 

 

여기도 있는 치성같은 모습. 무척 많았다.

 

일정한 높이를 계속 유지한다.

 

 

 

바깥쪽으로 나와보았다.

 

성곽안쪽으로 나있는 등산로.

 

성곽이 계곡으로 내려간다. 동문 방향이다.

 

 

 

 

새로 복원된구간. 동문근처는 성곽을 새로 복원해 놓았다.

 

 

동문.


북문출발이 오전 8시 30분, 동문도착이 오전 10시 30분.

북문에서 동문은 천천히 걸어서 2시간 거리였다.  그리고 동문 바로옆으로 차도가있어 동문은 자동차로 접근이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