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사적 제124호
명 칭 : 덕수궁(德壽宮)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면적 : 63,190㎡
지 정 일 : 1963.01.18
소 재 지 : 서울 중구 정동 5-1
시 대 : 조선시대
소 유 자 : 국유
관 리 자 : 덕수궁
지금의 덕수궁(德壽宮)은 원래 경운궁(慶運宮)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었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의주까지 몽진하였다가 1년 반 만에 서울로 돌아왔으나, 궁궐이 병란에 소실된 까닭에 머물 궁이 없었기에 왜군들이 주둔하여 파괴를 면한 당시 황화방(皇華坊:정릉동 일대)의 종친과 양반가 등의 민가들을 수용하여 임시 궁궐로 개조, 정릉동 행궁으로 삼고 시어소로 머물게 되었다.
덕수궁 자리에는 조선 9대 임금인 성종의 형 월산대군의 집이 있었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한양으로 돌아온 선조는 궁궐이 모두 불에 타고 없어서 임시로 월산대군의 집을 거처로 정하고 선조 26년(1593)부터 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근처의 계림군과 심의겸의 집 또한 궁으로 포함하였다.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은 즉위 3년(1611)에 이곳을 경운궁으로 고쳐 부르고 1615년 창경궁으로 옮길 때까지 왕궁으로 사용하였다. 그후 선조의 왕비인 인목대비가 경운궁으로 쫓겨나와 있게 되었는데 그 후로 광해군은 이 곳을 서궁으로 낮추어 부르게 하였다.
가을이 가득한 덕수궁이다. 중화전(中和殿)
덕수궁 석조전(石造殿)
덕수궁 돌담길.
대한문의 수문장 교대식.
석어당.
즉조당.
준명당과 즉조당.
뒤쪽의 굴뚝.
정관헌 담장.
정관헌(靜觀軒)
중국풍이 느껴지기도 하는 서양식 건물로 설계는 러시아인이 공사는 중국인이 했다. 여기서 고종은 연회를 열기도 하고 가배다(嘉排茶,커피)를 마시면서 휴식을 취하기도 하였다.
고종의 침전인 함녕전 뒤편 동산에 위치하여 내전 후원의 정자 기능을 대신한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어딘가 모르게 우리나라 건물이 아닌 느낌을 받기도 하지만 난간과 지붕 아래쪽을 장식한 문양(박쥐, 소나무, 사슴등)이나 기둥(천원지방)을 보면 기본적인 개념은 우리의 것임을 알 수 있다.
덕홍전(德弘殿)
고종황제가 외국사신이나 고위 관료들을 접견하던 곳이다. 외국세력을 통해 일본의 그늘에서 벗어나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나 싶다.
덕홍전은 전기시설을 갖추고 있는데, 참고로 우리 나라 최초의 전등은 1887년 경복궁 내 건청궁에 설치된 바 있었다. 일상생활을 하는 곳은 아니므로 바닥을 온돌이 아닌 마루로 되어 있고, 특이하게 정면3칸, 측면 4칸으로서 측면이 정면보다 더 크다는 특징을 지닌다.
석조전(石造殿)
건립연도 : 1910년
개요 : 신고전주의 양식 ; 3층 석조건물, 정면 54.2m, 측면 31m(동관)
석조전은 원래 경희궁 터에 세우기로 했던 것인데 경운궁에 세워졌다. 1893년 1월 이래 한국정부의 총세부사로 있다가 한때 러시아의 힘으로 거세된 후 1893년 3월 다시 복직된 바 있는 친일 영국인 브라운 경(Sir John McLeavy Brown)의 발의에 의해 세워지게 된 것이다.
덕수궁의 화재로 목조가 위험하다고 생각하여 석조로 세운 것이 석조전인 것이다. 구성헌 자리에 세워졌다. 오쿠라 토목조는 '석조전 공사(현재의 궁중유물전시관, 1903.8.5)'를 착공했다. 당시 공사명은 '한국 왕성건축 3층 석적공사(王城建築 3階 石積工事)'였다. 영국·일본의 '협작(協作)'이었던 것이다. (1906.11.15). 구성헌은 석조전을 지으면서 철거되었다.
석조전은 1900년 착공, 1910년 6월 준공되었다. 설계자는 상하이(上海)에 있던 영국인 하딩(G. R. Harding)이었다. 시공자는 일본 오쿠라 구미였다. 감독은 초기에는 심의석, 사바젠 그리고 세관에 근무했던 데이비드슨이었다. 후기에 일본인 고가와가 마무리했다.
데이비슨은 1905년부터 감독을 맡아 공사를 계속하였다 그는 세관업무뿐만 아니라 덕수궁 석조전의 건축에 갚은 관심을 갖고 협조하였으며, 파고다 공원의 각종 시설 건축에도 기술적으로 참여하였다. 파고다 공원은 1897년 브라운에 의해 공원으로 조성된 것으로 처음에는 탑골공원이라 불려졌다. 데이비드슨은 이 공원의 실제적인 조성자 였다. 이때 일본인 건축가 다케모토가 도왔다. 영국인과 일본 인간의 통역은 마르털이 맡아 했다.
건축구조는 지상3층, 연면적 1,159평의 석조이므로 석조전이라 이름했다. 기초공사에는 창의문(彰義門)부근(세검정)의 화강석이 사용되었다. 세워질 당시 양식의 공식 명칭은 '영국식민식 궁전양식'이었다. 등록문화재 제 80호로 등록되어 있다. (2003.12.14)
석조전은 지금은 동관이라고도 한다. 서관(등록문화재 제81호, 1936~38.3,141,016평 규모)과는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다.
미국대사관 관저 구내, 현재의 주된 대사관 게스트 하우스는 1884년부터 1948년까지 미국공사관(영사관)이었다.
러시아 공사관 쪽에 역사적으로 더 의미가 갚고, 더 오래된 구내 특징물이 있었는데, 이 문은 러시아 공사관 대지에서 덕수궁의 뒤편 벽으로 뚫린 길에 통하고 있었다. 그것은 대사관 관저 뒤에 있는 언덕 꼭대기에 있는 문이다. 이 길은 그때 미국 공사였던 허드(Augustine Heard)가 사도(私道)로 만들었고, 1892년 여름에 동쪽과 서쪽에 있는 문들과 담으로 폐쇄되었다. 이 길은 덕수궁에서 외국사절단으로 가는 자연적인 출구였기 때문에 정치적 사건의 날에 지나친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19세기 말부터 궁내에 지어진 서양식 건물 중 돈덕전·석조전이 가장 큰 규모였는데, 돈덕전은 철거되었고, 석조전은 정면 54m, 나비 31m의 장대한 3층 석조건물로, 이 건물이 들어서면서부터 정전과 주변 한식 건물의 고유한 건축구성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더욱이 석조전의 남쪽에 서양식 연못을 만들면서 궁의 본래 모습이 많이 파괴되었다. 선원전이 있던 지금의 덕수초등학교와 전 경기여자중·고등학교 일대에는 선원전 외에 사성당(思成堂)·흥덕전(興德殿)·의효전(懿孝殿)이 있었다. 덕수궁은 비록 조선 말기에 궁궐로 갖추어진 곳이기는 하지만, 전통목조건축과 서양식 건축이 함께 남아 있는 곳으로 조선왕조의 궁궐 가운데 특이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덕수궁 안내문에서..
'우리의 궁(宮),당(堂),루(樓),정(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양의 정자 (亭子) (0) | 2008.11.19 |
---|---|
강화 연미정 (燕尾亭) (0) | 2008.11.18 |
춘천 조양루 (朝陽樓) (0) | 2008.11.13 |
용흥궁 (龍興宮) (0) | 2008.11.13 |
고려궁지 (高麗宮址) (0) | 2008.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