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명승 제33호
명 칭 : 광한루원(廣寒樓苑)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원
수량/면적 : 69,795㎡
지 정 일 : 2008.01.08
소 재 지 : 전북 남원시 천거동 78번지 등
시 대 : 조선시대
소 유 자 : 국유,공유,사유
관 리 자 : 남원시
신선의 세계관과 천상의 우주관을 표현한 우리나라 제일의 누원이다.
원래 이곳은 조선 세종 원년(1419)에 황희가 광통루라는 누각을 짓고, 산수를 즐기던 곳이었다. 1444년 전라도 관찰사 정인지가 광통루를 거닐다가 아름다운 경치에 취하여 이곳을 달나라 미인 항아가 사는 월궁속의 광한청허부(廣寒淸虛府)라 칭한 후 ‘광한루’라 이름을 부르게 되었다. 1461년 부사 장의국은 광한루를 보수하고, 요천의 맑은 물을 끌어다가 하늘나라 은하수를 상징하는 연못을 만들었다.
호수에는 지상의 낙원을 상징하는 연꽃을 심고, 견우와 직녀가 은하수에 가로막혀 만나지 못하다가 칠월칠석날 단 한번 만난다는 사랑의 다리 ‘오작교’를 연못 위에 설치하였다. 이 돌다리는 4개의 무지개 모양의 구멍이 있어 양쪽의 물이 통하게 되어 있으며, 한국 정원의 가장 대표적인 다리이다.
1582년 전라도 관찰사로 부임한 정철은 광한루를 크게 고쳐 짓고, 은하수 연못 가운데에 신선이 살고 있다는 전설의 삼신산을 상징하는 봉래·방장·영주섬을 만들어 봉래섬에는 백일홍, 방장섬에는 대나무를 심고, 영주섬에는 ‘영주각’이란 정자를 세웠다. 그러나 정유재란 때 왜구들의 방화로 모두 불타버렸다.
현재의 광한루는 1639년 남원부사 신감이 복원하였다. 1794년에는 영주각이 복원되고 1964년에 방장섬에 방장정이 세워졌다. 이 광한루원은 소설 『춘향전』에서 이도령과 춘향이 인연을 맺은 장소로도 유명하여, 1920년대에 경내에 춘향사를 건립하고 김은호 화백이 그린 춘향의 영정을 모셔 놓았다. 해마다 음력 5월 5일 단오절에는 춘향제가 열린다.
광한루(廣寒樓)
종 목 : 보물 제281호
명 칭 : 광한루(廣寒樓)
분 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조경건축/ 누정
수량/면적 : 1동
지 정 일 : 1963.01.21
소 재 지 : 전북 남원시 천거동 77-1
시 대 : 조선시대
소 유 자 : 국유
관 리 자 : 남원시
이 건물은 조선시대 이름난 황희정승이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처음엔 광통루(廣通樓)라 불렀다고 한다. 광한루(廣寒樓)라는 이름은 세종 16년(1434) 정인지가 고쳐 세운 뒤 바꾼 이름이다. 지금 있는 건물은 정유재란 때 불에 탄 것을 인조 16년(1638) 다시 지은 것으로 부속건물은 정조 때 세운 것이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누마루 주변에는 난간을 둘렀고 기둥 사이에는 4면 모두 문을 달아 놓았는데, 여름에는 사방이 트이게끔 안쪽으로 걸 수 있도록 해 놓았다. 또한 누의 동쪽에 있는 앞면 2칸·옆면 1칸의 부속건물은 주위로 툇마루와 난간을 둘렀고 안쪽은 온돌방으로 만들어 놓았다. 뒷면 가운데 칸에 있는 계단은 조선 후기에 만든 것이다.
춘향전의 무대로도 널리 알려진 곳으로 넓은 인공 정원이 주변 경치를 한층 돋구고 있어 한국 누정의 대표가 되는 문화재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ㅁ본루 : 정면5칸, 측면4칸 팔작지붕 루 마루집
ㅁ익루 : 정면3칸, 측면3칸
ㅁ월랑 : 정면1칸, 측면3칸
조성년대 : 1419년 화의 광통루 축조
ㅁ1434년(세종 16년) 부사 민여공 중수
ㅁ1437년(세종 19년) 부사 유지례 단청
ㅁ1444년(세종 26년) 정인지 광한루 개칭
ㅁ1582년(선조 15년) 부사 장의국 대규모 개수
ㅁ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 때 불탐
ㅁ1599년(선조 32년) 부사 원신 재건
ㅁ1626년(인조 4년) 부사 신감 중수
ㅁ1855년(철종 6년) 부사 이상억 중수
ㅁ1879년(고종 16년) 부사 이용준 월랑 설치
ㅁ1931년 군수 백정기, 남원면장 양재영 및 진사 이수봉 등이 보수 완료
광한루 본루의 정면모습이다.
익루는 숲에가려 잘 안보인다.
호수에 비친 광한루.
기단은 막돌바른층 쌓기의 낮은 기단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그 위에 원형의 돌 기둥을 세우고 2층 나루부분에는 나무기둥을 세웠으며 2층 누마루 주위에는 계자 난간을 둘렀고 기둥 사이에는 모두 분합문의 들창을 달아 사방이 모두 개방되게 하여 북쪽으로 교룡산, 남쪽으로 금암봉이 멀리는 지리산 노고단과 반야봉이 보인다.
기둥 위에는 주두를 얹고 기둥머리부터 소 혀바닥 모양을 하나 내고 위에 행공첨차를 놓아 외출목을 구성하고 다시 위에 우설을 내어 이익공과 비슷한 주심포건물을 만들었으며 창방과 주심도리 사이에는 화반을 끼웠다.
우측으로 한바퀴 돌아본다.
익루다.
입구 월랑이 보이고...
1879년 광한루가 차츰 북쪽으로 기울어져 이를 방지하기 위해 루의 북쪽에 다락(월랑)을 세워 층층대를 만들어 놓았다.
북쪽의 층층대는 1877년(고종14년)에 부임한 남원부사 이용준이 광한루가 퇴락하여 본관 전체가 북쪽으로 기울어져 무너질 우려가 있어 수지면 고평리에 사는 추(秋) 대목의 묘안을 받아들여 북쪽에 누를 오르내리는 계단을 만들되 본관과 같이 아름드리 기둥을 세워 튼튼하게 고정시켜 본관의 기울음을 바로 잡고 외관으로도 더 화려하게 하였다. 이는 우연하게도 누각 건축사상 큰 의의를 가지게 되는데 그것은 우리나라 누각에 월랑을 가설하게 된 시초이며 이전까지는 누상을 오르내리는 사다리만 설치하였다.
월랑이다.
월랑은 상하 2층으로 되어 있는데 하층은 5단, 상층 5단의 층층계단이 있고 양측 난간에는 칸살을 설치하였으며 현관 옥상의 자그마한 지붕은 본관의 높고 큰 지붕과 조화를 이루어 누각의 아름다움을 한층 더해준다.
월랑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본다.
광한루의 앞뒤에는 ‘호남제일루(湖南第一樓), 계관(桂觀), ’광한루(廣寒樓)란 편액이 걸려있다. 호남제일루라는 말 그대로 호남에서 제일가는 누각이라는 뜻이며, 광한과 청허부는 하늘나라 월궁의 옥경에 들어서면 ‘광한 청허지부’가 있다는 신화적 전설을 상징하고, 계관은 달나라의 계수나무 신궁을 상징한다. 광한루 누각에 걸린 여러 편액중 광한루란 편액은 신익성이 호남제일루와 계관의 편액은 1855년 남원부사 이상억이 누각을 중수하면서 손수 써 걸었다. 이 중 계관의 편액은 동학란 때 없어진 것을 1930년대 광한루를 대대적으로 보수할 때 남원유지 강대형이 다시 써 건 것이다. 또한 현재 광한루에 걸린 광한루란 편액은 전민의원 조정훈이 쓴 글씨라고 하는데 금암봉의 금수정과 용성관의 편액 글씨도 썼다고 전해온다.
전설의 삼신산을 상징하는 봉래·방장·영주섬을 만들어 봉래섬에는 백일홍, 방장섬에는 대나무를 심고, 영주섬에는 ‘영주각’이란 정자를 세웠다.
왼편이 영주섬, 오른쪽이 방장섬이다.
익루로 들어가는 문인데, 개방하지 않았다.
비석군
오작교
선조15년(1582)에 남원부사 장의국은 광한루를 수리하면서 다리를 새로놓고 오작교라 부르게 됐다. 그 이후 광한루는 정유재란때 불타 1626년 복원됐지만 오작교는 처음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오작교는 길이 57m, 폭 2.4m, 4개의 홍예경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존하는 연지교중 국내에서는 규모가 가장 크다.
또한, 오작교를 밟으면 부부 금실이 좋아진다는 전설이 있고 춘향과 이도령의 사랑이 어린곳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처녀가 아닌 사람이 다리를 건너면 다리가 무너진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처럼 광한루와 오작교는 전설과 사랑이 어우러져 있어, 춘향이가 단오날 그네를 뛰는 것을 광한루에 올라앉아 이도령이 보고 첫눈에 반해 사랑이 싹트기 시작한것처럼 사랑하는 연인들의 다리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오작교에서 바라본 광한루.
완월정(翫月亭)
- 위치 : 남원시 천거동 187-1번지
- 규모 : 88.45㎡ (정면 6칸, 측면2칸 겹처마 팔각지붕 5량 굴도리 집)
- 조성년대 : 1971년 5월 21일
완월정은 1971년에 신축된 수중누각으로 1963년 채기묵 남원군수의 재임(1962년 4월 5일~1963년 5월 31일) 당시부터 연차계획을 세워 경내를 확장하고 주변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증설된 건물이다.
건물형태는 호두각집이라는 형식으로 형조건물이다.
호두각집은 죄인을 건물앞에 대령시키고, 돌출된 부분에서 심문하는사람이 한껏 위엄을 보이며 일을 보는 자리이다.
전설에 의하면 광한루는 천상의 광한전을 재현한 것이며 이 완월정은 인간이 달나라를 즐기기 위한 것으로 (달을 맞이하여 달과 친해진다는 의미)달이 뜨는 동쪽을 향하고 있는데 전통양식의 누각으로 광한루원의 절경을 한층 돋보이게 하고 있다.
완월정은 1969년 기존 호수를 확장하여 인공 방장형 호수를 축조한 후 수중누각으로 신축한 것인데 2층 누각이다. 누각의 이름은 옛날 남원성 남문의 문루(門樓)인 완월루(翫月樓)에서 따온 것이다. 동학농민동기(1894년)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남원성의 남문인 완월루가 지금의 제일은행 네거리에 있었다.
남원성의 사대문은 향일루(동문), 망미루(서문), 공진루(북문), 완월루(남문)인데 그 중 남문의 누각인 완월루의 완월을 따서 완월정이라 했다. 전체적인 모습은 호두각형 건물인데 의정부 육조중 형조의 건물이 이러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영주각(瀛洲閣)
용성지 누정조에는 1582년(선조15년) 전라감사 정철이 삼신산을 만들때 한주섬에 연정을 세웠다고 했으나, 증보 남원지(1972년) 누정조에는 1795년(정조 19년) 남원부사 이만길 중수하고, 영주각 편액을 손수 써서 걸었다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영주각은 1582년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영주각은 광한루와 더불어 누원내 신선사상 배경의 정원으로 가꾸기 위해 축조된 상징적 누각으로서 <용성지>의 누정편에 보면, “전라관찰사 정철이 요천에서 끌어온 물이 누앞을 좁다랗게 흐르고 있던 개울을 넓혀서 평호로 하고 은하수를 상징케 했으며 주위를 석축으로 하고 호중에 세 개의 섬을 만들어 하나에는 녹죽을 심고, 하나에는 백일홍을 심었으며, 다른 하나에는 연정을 세우고 호중에 여러 종류의 꽃을 가득 심었다”고 되어있다. 이 문헌에 따르면 영주각은 관찰사 정철이 주도한 광한루 확장 공사시 건립된 것으로 보이며 이때는 한주섬(漢州)이라고 불렀던 것 같다. 현재의 영주각은 정조 19년(1795)에 부사 이만길이 재건하고 영주각이란 편액을 손수 써서 걸었다고 <증보 남원지>에 기록되어 있다.
그 후 1963년부터 경내가 확장, 정화되면서 1965년에 36회 춘향제를 준비하면서 지금과 같은 단청이 되었다.
영주각은 단층 누각 형태로 기단부는 화강석 장대석을 정밀 가공하지 않고 설치했으나 부분적으로 자연미도 보인다. 1층 하부의 석주는 화강석으로 일정하지 않은 방형으로 가공해서 초석받침위에 세웠고 초석위로 장귀틀과 동귀틀을 끼워 우물마루를 설치하였고 초석 위에 흠을 파서 귀틀장선을 끼웠다.
상층 우물마루에는 누간을 두지 않고 기둥에 흠을 파서 여모중방을 끼우고 머름을 낮게 설치하였으며 후면에 목조계단 5단을 설치하였다. 기둥 위에는 주두를 얹고 기둥머리부터 양서를 하나 내고 위에 쇠서를 구성하여 이익공의 형태를 만들었으며 창방과 주심도리 사이에는 화반을 끼웠고 주심도리와 주두에는 첨자를 끼웠다.
가구는 5량으로 대들보를 외진 기둥 주두위에 얹고 보위에 동자주를 세워 종량을 받치며 종량위에는 판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받치고 있다. 천정은 연등천정으로 연목과 부연이 있는 겹처마이고 건물 네 귀의 추녀에는 활주를 받쳤고 기둥머리 이하에는 석간주 가칠하였고 상부는 모로 단청으로 마감되었다.
영주각에는 「영주각(瀛洲閣)이란 편액과 영주각에서 바라본 광한루의 풍경을 노래한 4개의 편액이 걸려있다.
대나무 숲에 둘러싸여, 영주섬에 자리잡은 영주각.
방장정(方丈亭)
방장정은 1963년부터 시작된 광한루원 확장 정화계획에 의거 당시 남원군수 이화익의 창안으로 세워지게 되었는데 도편수 이한봉이 건축하였다.
방장정은 과거 문헌상 삼신도를 조성할 시기에는 방장정은 나타나지 않고 다만 중국 원나라때 북경의 금원인 태야지원의 수산 정원에 보면 "태연지원은 금나라때 창설한 것인데 원나라(1201-1367)때에 이르러 북해에 있는 강화도 중앙의 만수산위에 7칸의 광한전을 세웠고 동쪽의 산 허리에는 방호정을 서쪽에는 영주정을 세웠다는 기록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남원 광한루원에는 이처럼 광한루를 비롯하여 모두 4개의 정자가 있다.
완월정과 방장정은 요즘 만들어진것이라 옛 정취는 많이 부족하지만 , 이렇게 정자가 많은것또한 이곳의 복(福)임에 틀립없다.
'우리의 궁(宮),당(堂),루(樓),정(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송의 정자(亭子) (0) | 2008.10.30 |
---|---|
육상궁 (毓祥宮), 칠궁 (七宮) (0) | 2008.10.20 |
밀양 영남루 (嶺南樓) (0) | 2008.10.10 |
진주 촉석루 (矗石樓) (0) | 2008.10.09 |
대원군별장 석파정 (石坡亭) (0) | 2008.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