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부터 우리 조상들의 잔칫상엔 떡이 빠지는 일이 없었다. 특별한 날 절대 빼놓지 않고 올리는 것이 있었으니, 떡이다. 명절은 물론 혼인, 백일 등 통과의례에 맞추어서 늘 떡을 준비했고, 그 외에도 액운을 막거나 떡점을 치기 위해서 먹기도 했다. 떡으로 만든 국을 먹으며 한 해를 맞이하기도 하니 한국인에게 떡은 언제나 명절 음식 그 이상이었다.
한국전통음식연구소 윤숙자 소장은 이런 우리 음식의 소중함에 눈떠 지난 20여 년간 모은 우리 전통의 부엌살림과 떡에 관한 소장품을 모아 2002년 종로구 와룡동에 떡박물관을 열었다.
떡박물관 1층에는 떡카페, 2층에는 부엌살림 박물관이 있고, 떡박물관은 3층에 1,2관으로 나누어져 있다. 1관에서는 명절마다 만들어 먹는 떡을 볼 수 있다. 설날의 떡국, 봄을 알리는 삼짇날에는 진달래꽃으로 만드는 화전, 음력 6월 보름에는 주악, 햇곡식과 과일이 풍부한 추석에는 송편과 같은 떡 음식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떡과 함께 만드는 방법과 기구들이 전시되어 있어 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2관에서는 한국인의 전통 통과의례에 쓰였던 음식과 떡을 전시하고 있다. 한 사람의 일생을 통해 그 시기 때마다 쓰였던 음식과 떡을 전시하여 그 음식이 가진 의미를 전달하고 있는 것. 이곳에서는 떡을 직접 만들고 맛볼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된다. 외국인 프로그램도 있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우리 조상들은 각 시기별로 상차림도 달랐다. 2층 부엌살림 박물관에는 입구부터 출구까지 시간의 흐름에 맞춘 상차림이 전시되어 옛 부엌살림들과 장독들까지도 찬찬히 둘러볼 수 있도록 했다. 1층 떡카페 ‘질시루’에서는 3층에서 본 다양한 떡과 차를 판매하고 있다. ‘질시루’에서만 판매하는 즉석 떡은 선물용으로도 인기가 좋다.- 인터넷에서
떡박물관은 종로3가 피카디리에서 창덕궁방향으로 가다보면 길 가에있기때문에 찾기쉽다
떡카페와 음식연구소도 같이 운영하고 있었다
2층과 3층을 박물관으로 사용한다
먼저 2층이다
안으로 들어서면 떡치는 인형이고...
그 뒤로는 떡만들때 사용하는 전통도구들이 있다
한바퀴 돌아본다
떡의 종류가 무척이나 많은데...
찐떡과 친떡
지진떡과 삶은떡
마치 생선회 같았다
떡과 떼어놓을수 없는 김치
앞에는 명절의 풍경을 디오라마 해놨다
그리고 전통부엌
여기는 계절별 떡과 음식이다
겨울철 떡과 음식
가을의 떡과 음식
여름과 봄의 떡과음식
그리고 김장독
이렇게 2층을 한바퀴 둘러보았다
이제 3층이다
떡에쓰이는 재료들
3층 전경
먼저 떡살이다
다양한 떡살
한국의 차문화도 겻들여져 소개한다
다음은 행사별 떡이다
이것은 제례용
이것은 상례용
그리고 회갑용
책례, 관례,벡일,돌...
결혼의 함
개성폐백
이렇게 3층을 둘러보았다
아래로 내려서며 답사를 마친다
입구에있는 데코레이션
떡박물관은 누구나 알수있지만, 자세히 알지못하는 우리 음식문화를 잘 소개해주고있다
특히 떡을만드는 종류별, 계절별, 행사별로 잘 설명해놓아 자칫 잊기쉬운 우리의 음식문화에대한 이해도를 상식적으로 잘 풀어놓은 박물관이라 할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