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있는 이 퇴적층이 이순신 장군 시대 사람들이 생활하던 집터와 상점터가 쌓여서 만들어진 거라고 하면 다들 놀라죠. 우리 발밑에 조선시대 600년 역사가 그대로 살아 숨쉬고 있어요.”
7일 오후 서울 종로2가에 있는 육의전 박물관에서 만난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 소장은 박물관 한쪽 벽면에 전시된 2.5m 높이의 퇴적층 앞으로 기자를 안내했다. 퇴적층에는 조선 초기부터 대한제국 시대까지 시대에 따른 경계선이 표시돼 있고 경계선을 따라 각 시대에 있었던 주요 사건들이 한눈에 들어오게 정리돼 있다. 2012년 8월 문을 연 육의전 박물관은 도심 재개발과 문화재 복원이란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은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육의전 박물관에는 빌딩 건설 현장에서 발굴한 15세기와 16세기 시전행랑(육의전 상인이 거주하던 집과 창고)과 피맛골의 유구가 그대로 복원돼 있다. 보존 처리를 한 유구 위에 283㎡(약 86평) 규모의 유리막을 씌워 관람객들이 걸어다니며 발밑의 유적을 천천히 살펴볼 수 있게 했다. 보존된 유구 옆에는 실제 발굴에 사용된 삽과 호미, 보존액, 발굴계획서 등을 함께 전시해 발굴작업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볼 수 있게 했다. 황 소장은 2008년부터 육의전 박물관 건립에 뛰어들었다.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원형 그대로의 시전행랑터가 발굴돼 건축 사업이 좌절될 위기에 처한 건축주가 황 소장을 찾은 것이 계기가 됐다. 황 소장은 “육의전 박물관이 건물 지하에 전시관을 만들어 유구를 복원한 이후 서울시청에 있는 군기시 유적전시관 등 여러 건설 현장에서 이를 벤치마킹하는 모습을 보면 뿌듯하다”고 말했다. - 한국경제
홍선표 기자 rickey@hankyung.com
도시 한복판에 세워진 솟을대문.
이곳이 옛 피맛골거리라는것을 유일하게 알려준다.
박물관은 건물 지하에있다.
입구
박물관전경이다. 아주 자그마했다.
육의전 옛터모습
육의전 옛모습 재현디오라마
아래로 내려가 본다.
육의전에서 사용한 시장거래도구
작은 박물관이지만 그 역사적의미와 양반이아닌 서민의 모습을 느낄수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할수 있겠다.